카테고리 없음
proxmox clustering 1 - 개념
규미
2025. 6. 7. 10:27
Proxmox 클러스터링은 여러 대의 Proxmox VE 서버를 하나의 논리적 그룹으로 묶는 기능입니다. 단순히 "묶는 것" 이상의 의미가 있으며, 고가용성(HA), 중앙 관리, 자원 공유 등 여러 목적을 가지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.
클러스터링이 불필요한 경우
- Proxmox 1~2대만 사용하며, 단순한 가상화 환경
- 고가용성이나 VM 이동이 필요 없음
- 공유 스토리지가 없는 경우
- 설정과 유지보수가 부담스러운 개인/소규모 환경
중앙 관리 | 여러 Proxmox 노드를 하나의 웹 UI에서 통합 관리 가능 (브라우저 탭 하나로 전체 노드 상태 확인) |
고가용성(HA) | 하나의 노드가 장애가 나면 VM이 자동으로 다른 노드로 이동해 실행됨 (HA 구성 시) |
자원 최적화 | 노드 간 자원(CPU, RAM) 사용률 비교, VM을 효율적으로 분산 배치 가능 |
라이브 마이그레이션 | VM을 꺼트리지 않고 다른 노드로 실시간 이동 가능 (공유 스토리지 필요) |
백업 및 복구 | 백업 스토리지 공유, VM 복구 작업이 더 유연함 |
테스트/운영 분리 | 테스트 VM을 특정 노드에만 두고 운영 VM은 다른 노드에서 분리 실행 가능 |
장점
편리한 중앙 관리 | 한 대의 웹 UI에서 전체 노드와 VM 상태를 통합 확인하고 조작 가능 |
고가용성(HA) | 노드 장애 시 VM 자동 재시작 가능 (HA 설정 필수) |
VM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| VM을 중단 없이 다른 노드로 이동 가능 (공유 스토리지 필요) |
백업의 일원화 | 백업 대상 VM이 여러 노드에 있어도 자동 스케줄링/관리 가능 |
확장성 | 필요시 노드를 추가하여 클러스터 자원을 유연하게 확장 가능 |
노드 간 인증 자동화 | corosync 기반의 내부 통신은 인증키를 자동으로 관리 |
단점
구성 복잡도 증가 | 단일 노드보다 네트워크 설정, 시간 동기화 등 사전 준비가 많음 |
클러스터 분할(brain split) | 네트워크 장애 등으로 클러스터 통신이 끊기면 데이터 불일치 위험 발생 가능 |
공유 스토리지 필요 | HA나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을 위해서는 NFS, Ceph, iSCSI 등의 공유 스토리지가 필요 |
자원 격리 어려움 | 여러 사용자가 있을 경우, 자원 제한이 복잡해질 수 있음 (별도 설정 필요) |
노드 수 유지 중요 | 클러스터가 정상 동작하려면 최소 3개 노드 이상 유지하는 것이 좋음 (quorum 문제) |
quorum 문제 : 클러스터가 살아있다고 판단되려면, 몇 개의 노드가 서로 통신되고 있어야 하는가"를 정의하는 개념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