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 최신파일로 설치하고자 하면 사이트에 접속하여 img.zip 파일의 링크를 복사하여 대체 https://github.com/RROrg/rr/releases
클릭
apt-get update
apt-get install unzip
cd /var/lib/vz/template/iso
wget https://github.com/RROrg/rr/releases/download/25.6.3/rr-25.6.3.img.zip
unzip rr-25.6.3.img.zip
ls
rr.img 확인
우측상단 create VM 클릭
name : vm 이름
참고 scsi controller
LSI 53C895A | 오래된 LSI SCSI 컨트롤러. 일부 구형 OS와 호환성을 위해 존재. 성능은 낮음. |
LSI SAS 1068 | SAS 컨트롤러로, 일부 Windows 또는 Linux에서 호환성 좋음. 다만 최신 성능은 아님. |
VirtIO SCSI | KVM용 고성능 가상화 컨트롤러. 최신 OS에서 최고의 성능 제공. 권장 옵션. |
VirtIO SCSI single | VirtIO SCSI와 유사하나, 각 디스크를 독립 큐로 다뤄 I/O 간섭이 줄어듦. 고성능 + 낮은 레이턴시. |
MEGASAS | LSI MegaRAID 에뮬레이션. 일부 Windows OS에 유리. 성능은 낮은 편. |
VMware PVSCSI | VMware 호환성 필요 시 사용. 특수한 경우 외엔 굳이 쓸 이유는 없음. |
참고 Machine
최신 VM/OS | q35 |
구형 OS | i440fx |
PCI Passthrough | q35 + OVMF |
특별한 이유 없다면 | 최신 pc-q35-<버전> 사용 |
Disk 용량 적당히 설정, cache 사용시 writeback
참고 Cache 옵션
Default (no cache) | 설정하지 않음. 보통 write through와 비슷하게 동작 | 중간 | 높음 | 안전한 기본값 |
None | 게스트가 직접 I/O를 디스크에 수행, 캐시를 사용하지 않음 | 높음 | 높음 | virtio 사용 시 가장 권장됨 |
Writeback | 쓰기를 게스트 메모리에 캐시 → 느리게 디스크에 기록 | 매우 높음 | ⚠️ 낮음 (정전 시 위험) | 속도 빠름, 위험 있음 |
Writethrough | 쓰기를 즉시 디스크에 전달, 읽기만 캐시 | 낮음 | 높음 | 가장 안전하지만 느림 |
Writearound | 읽기만 캐시, 쓰기는 캐시 안 함 | 중간 | 중간 | 매우 드뭄, 특별한 목적 외에는 비권장 |
Unsafe | 캐시된 후 플러시 무시 → 속도 매우 빠름 | 최고 | ❌ 매우 낮음 | 개발/테스트 환경 한정 |
옵션 설명 특징 및 용도
kvm64 | 가장 호환성 좋은 CPU | 매우 제한된 명령어 집합, 속도 느림, 구형 OS 전용 |
qemu64 | 호환성 중심 CPU | kvm64보다 약간 확장됨. 역시 구형용 |
host | 실제 호스트 CPU 그대로 노출 | ✅ 최고 성능, ✅ 모든 명령어 지원, ⚠️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불가능 |
max | 가능한 모든 기능 활성화 | host와 유사하나 가상 환경 기준으로 최대화, ⚠️ 가끔 충돌 발생 |
custom (e.g. Skylake-Server, EPYC) | 특정 CPU 아키텍처 에뮬레이션 |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용이, 기능은 제한됨 |
소켓 및 코어 용도에 맞게 조절
용도에 맞게 조절
이미지 마운트
nano /etc/pve/qemu-server/100.conf
방향키로 제일 아래줄로 이동 후 args 부분 복사해서 붙여넣기
args: -drive if=none,id=bootusb,format=raw,file=/var/lib/vz/template/iso/rr.img -device qemu-xhci -device usb-storage,drive=bootusb,bootindex=1
컨트롤 + o (저장)
엔터
컨트롤 + x (나가기)
VM 시작
Console에서 이미지 부팅 확인
주소 확인
웹브라우저(크롬,엣지)로 접속
DS3622xs+ 선택
version 선택 7.2
Boot the loader 엔터
웹페이지에서 빨간부분 주소 접속 (재부팅 시간 소요, ip주소 뒤":5000" )
DSM 설치 (재부팅 및 설치 시간 소요됨.)
설치 완료시 위와 같이 화면 표시됨
장치 이름 및 계정 정보 입력 후 완료
건너뛰기
VM 종료
디스크 패스 스루
물리디스크를 마운트 하는 방법으로 업그레이드 업데이트의 장애나 부팅불가 상황등 문제해결이 쉬움
즉 유지보수나 장애대응에 있어 가상디스크 마운트 하는 것 보다 편의성이 높고 및 복구 난이도가 낮아짐
OS영역 문제 발생 > 이미지 재설치 후 마이그레이션 가능
레이드 된 저장영역 문제 발생 > 해당 디스크 패스스루 제거 후 새로운 디스크 패스스루 마운트
HW 문제 발생(파워 보드 등의 부팅불가 고장) > 디스크 제거 후 다른 시놀 혹은 헤놀에 장착 후 마이그레이션
중요하지 않은 데이터인 경우가 아닌 이상 패스스루를 이용하여 사용하길 권장함
ls -l /dev/disk/by-id/
여기서 sda,sdb,sdc 등의 디스크를 확인한다
만약 NAS형 케이스를 사용하거나 LED가 장착된 HDD케이스를 사용시 디스크를 다음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.(추후 디스크 교체시에도 확인 가능)
while true; do smartctl -a /dev/sda; done
같은 HW지만 ata로 시작하는 것으로 마운트(아래 참조)
DSM / ZFS / RAID 구성 시 | ✅ wwn-* (안정적이며, 시리얼 충돌 우려 없음) |
시리얼 기반 관리가 필요한 시스템 (예: DSM) | ata-* (모델명 + 시리얼 표시가 직관적) |
SAS 드라이브 | ✅ wwn-* 필수 (ATA 이름이 없거나 이상하게 나올 수 있음) |
하나의 디스크를 여러 경로로 접근할 때 구분 | wwn-* (같은 디스크라도 ata-와 scsi-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음) |
예시) qm set 100 -sata1 /dev/disk/by-id/ata-ST1000DM003-9YN162_Z1D18N29
sata1 ata-부분만 변경해서 사용
부팅
시놀로지 웹페이지(https://ip:5001) 접속 후
저장소 관리자에 마운트된 디스크 확인